Search

특허 리스트 및 네트워크 콘텐츠

특허 리스트 및 네트워크 콘텐츠 체계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

분야의 특허 리스트 콘텐츠

기술/제품-부품/소재-물질/특허 분류(CPC/IPC)/컨셉(coming soon)/키워드 등과 같은 분야별로 그 분야에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이 있습니다.
분야별로 특허셋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규 특허가 추가되기 때문에 그 특허셋의 크기는 증가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특허셋은 기준의 변경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신규 특허 추가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강건(robust)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특허셋이 재구성되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US의 CPC에 맵핑된 특허셋입니다. US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CPC 재구성(주로 세분화)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2달마다 current CPC라는 형태로, 특정 "CPC vs. 이 CPC에 대응되는 특허" 데이터를 업데이트 합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전면적인 것은 아니며, 부분 부분에서 소규모로 진행됩니다.

보유 특허 리스트 콘텐츠

기업별로 배속/대응/맵핑되는 특허셋은 특허의 현재 권리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특허는 자산(asset)의 일종이므로, 거래/이전의 대상이 됩니다. 국가별로 차이가 많이 있지만, 전체 특허 중 매년 0.1% ~0.5% 정도는 소유권이 변경됩니다. 따라서, PatentPia는 특허에 대한 거래/이전을 최대한 반영하여, 특허의 현재 권리자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에 따라, PatentPia에서는 특허의 권리자를 i) 현재 권리자(current assignee), ii) 직전 권리자(previous assignee), iii) 출원인(original assignee or applicant)로 구분하여 처리합니다. GoldenCompass에서는 대부분 현재 권리자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특허 리스트에는 현재 권리자와 출원인 정보가 함께 제공됩니다.
아래 예시는 "Apple"의 flexible display"라는 기업&키워드 아이템에 대한 US 특허 리스트 콘텐츠입니다. 아래 특허 리스트 콘텐츠에는 "Apple"이 "flexible display" 키워드 아이템 분야에서 매입한 특허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PatentPia의 보유 특허 리스트 콘텐츠를 현재 권리자를 기준으로 생성됩니다.

발명 특허 리스트 콘텐츠

연구자/발명자별로 배속/대응/맵핑되는 특허셋은 "특정 출원인의 특정 발명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국가 차원에서 동명 이인이 많기 때문에, 발명자로 표기되는 표현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실제로 다른 사람인데 이름의 표현이 같다는 이유로, 과잉 특허셋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동명 이인에 따른 과잉 특허셋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발명자가 소속된 것으로 추정되는 출원인을 사용하여, "특정 출원인의 특정 발명자" 단위에서 발명자별 특허셋을 구성합니다. 물론, 이 경우에는 특정 발명자가 A 기업에서 B 기업으로 이직(외부에서 인지 불가)한 경우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다만, "특정 출원인의 특정 발명자" 단위에서 발명자별 특허셋을 구성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합리적(부작용이 훨씬 적음)이기 때문에, PatentPia는 이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대리 특허 리스트 콘텐츠

대리인(특허 로펌, 특허 취급 로펌)별로 배속/대응/맵핑되는 특허셋은 특허 공보에 나타난 대리인 정보를 기준으로 합니다.
특허 공보에 나타나는 대리인은 공개 공보에 나타날 수도 있고, 등록 공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양자가 모두 있고, 다를 경우에는 등록 공보를 우선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특정 특허에 대한 실제 대리 업무를 수행했다고 하더라도, 공보에 나타나지 않은(외부에서 인지 불가) 대리인은 분석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등록 이후에 대리인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 변경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대리인은 특허의 출원 및 등록되기까지의 과정까지의 업무를 주로 수행합니다. 이에 따라, 등록 이후의 특허의 대리인이 변경되는 것이 분석에 반영되지 않더라도 대리인 업무 분석에는 대부분 문제되지 않습니다.

아이템별 특허셋 중 특별한 특허

이벤트 관련 특허 리스트 콘텐츠

아이템별 특허셋 중 특별한 특허의 대표적인 종류가 이벤트와 관련된 특허입니다. 이벤트에는 i) 특허 거래/매입/M&A를 통한 특허 이전, ii) 특허 소송/특허 심판 등의 거래, iv) 표준 특허, v) 특허가 사용된 FDA 승인, vi) 성과로서 특허가 창출된 국가 R&D 등이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Apple"의 flexible display"라는 기업&키워드 아이템에 대한 거래 이벤트와 관련된 매입 US 특허 리스트 콘텐츠입니다. 이벤트 관련 특허 리스트 콘텐츠에는 "Apple"이 "flexible display" 키워드 아이템 분야의 전체 특허 중, "Apple"이 매입한 특허, 즉 이벤트와 관련된 특허만 나타납니다.

연관 특허 네트워크 콘텐츠

특정 특허에는 그 특허와 특허적 연관 관계를 가지는 다른 특허들이 있습니다.

인용 관계에 따른 연관 특허

연관 특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용 관계 때문에 발생하는 연관 특허입니다. 인용 관계 특허는 여러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특정 특허가 인용하느냐 vs. 인용 받느냐에 따른 구분
선행 레퍼런스 특허
후행 인용 특허
인용 관계가 동일한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지에 따른 구분
국내 선행 레퍼런스 vs. 국내 후행 인용 특허
해외/국가별 선행 레퍼런스 특허 vs. 해외/국가별 후행 인용 특허
인용 관계가 심사관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
전체 선행 레퍼런스 특허 vs. 전체 후행 인용 특허
선행 심사관 레퍼런스 특허 vs. 후행 심사관 인용 특허
선행 심사관 OA 레퍼런스 특허 vs. 후행 심사관 OA 인용 특허
인용 관계에 있는 특허의 권리자의 동일성 여부에 따른 구분
전체 선행 레퍼런스/후행 인용 특허
전체 선행 self 레퍼런스/후행 self 인용 특허

유사 특허(coming soon)

특정 특허의 유사 특허는 그 특정 특허와 기술적으로 유사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특허를 말합니다. 유사 특허의 범위는 기술적 유사성의 측정 방법과 충족 기준의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술적 유사성은 i) 특허적 내용 관계, ii) 인용 관계, iii) 기타 관계로 측정됩니다. 특허적 내용 관계에는 i) CPC/IPC 등의 특허 분류, ii) 특허 문서 추출 내용(keyword 또는 key phrase, 목적/효과/용도/컨셉/수단/솔루션 표현 등)이 있습니다.

기타 연관 특허(coming soon)

기타 연관 특허로, i) 함께 소송에 사용된 특허, ii) 함께 거래/라이센스 된 특허, iii) 특정 특허에 의해 함께 레퍼런스 되거나 함께 인용된 특허 등이 있습니다.

연관 특허 네트워크

GoldenCompass는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을 구성하는 개별 특허별로 연관된 선행 레퍼런스 특허 또는 후행 인용 특허 간의 N:M 네트워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을 구성하는 개별 특허는 M개의 연관 특허를 가질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각 연관 특허는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 중 N개의 특허와 연관 특허 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복수 개로 구성된)특허셋의 관점에서 보면, 연관 특허들은 네트워크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면, Apple의 16/777239 특허는 7개의 특허에 의해 심사관 피인용(1:7) 받고 있습니다. 한편, Samsung Electronics 17/069332 특허는 Apple의 16/777239 특허와 16/563231 특허 모두를 (심사관) 인용하고 있습니다.

연관 특허 리스트 콘텐츠

GoldenCompass는 아이템별 배속/대응/맵핑된 특허셋 전체에 대한 연관된 선행 레퍼런스 특허셋 또는 후행 인용 특허셋을 제공합니다.
연관 특허 네트워크가 특허셋을 구성하는 각각의 특허별로 연관 특허를 제공하는 것인 반면에, 연관 특허 리스트는 특허셋 전체를 한 덩어리로 취급하여 제공하는 집계된 연관 특허셋입니다. 이에 따라, 연관 특허 네트워크 콘텐츠에는 아이템의 특허셋을 구성하는 개별 특허와 연관 특허가 함께 나옵니다. 하지만, 연관 특허 리스트 콘텐츠에는 연관 특허만 나옵니다.
위 예시에서 자체(입력/선택) 아이템("Apple의 flexible display") 관련 US 특허셋 기준으로 이 특허셋에 포함된 특허를 가장 많이 (심사관) 인용하고 있는 특허는 "Samsung Display의 15/699242 특허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2019~2021 등과 같이 최근 연도에서 내림차순 선택하면 최근 들어 자체(입력/선택) 아이템("Apple의 flexible display") 관련 US 특허셋의 특허를 많이 (심사관) 인용하는 특허 및 그 특허의 권리자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특허 리스트 콘텐츠 활용

PatentPia GoldenCompass가 제공하는 특허 리스트 콘텐츠에서는 전체 또는 선택된 특허를 대상으로 i) 엑셀 다운로드, ii) PatentPia Analytics를 활용한 실시간 분석(coming soon), iii) 리포트 생성(coming soon)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엑셀 다운로드

GoldenCompass가 제공하는 특허 리스트에 대한 엑셀 다운로드의 가장 큰 특징은 i) 눈에 보이는 내용 이외에도, 특허별로 ii) 다양한 측정 시계열/지표 데이터 및 iii) 각종 특허 속성 데이터가 제공(coming very soon)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측정 시계열 데이터 및 특허 속성 데이터는 i) 필터링, ii) 엑셀의 PivotTable을 통한 분석, 및 자신만의 모델(예, AI/기계 학습을 통한 예측-평가-분류-연관 모델 등) 생성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PatentPia Analytics를 활용한 실시간 분석(coming soon)

PatentPia Analytics는 특허셋이 주어졌을 때, max 5,000여 가지의 분석 결과를 분석 메뉴 클릭만으로 제공해 줍니다. 따라서, 특허 리스트의 특허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만으로 PatentPia Analytics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My portfolio를 활용하면, 즉시 PatentPia Analytics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Step 1 : 특허 리스트를 엑셀로 다운로드
Step 2 : My portfolio에서 다운로드 된 특허 리스트를 업로드(상세한 방법은 My portfolio의 "특허셋 실시간 분석" 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Step 3 : My portfolio에서 업로드 특허 리스트가 업로드된 특허 폴더 선택 →분석 메뉴(특허→특허 분석→포트폴리오→출원 및 등록→국가 선택) 클릭
Step 4 : PatentPia Analytics의 분석 메뉴 클릭

리포트 생성(coming soon)

GoldenCompass는 특허 리스트의 특허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만으로 특허별 간략 리포트를 MS Word 파일로 생성합니다.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