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핵심 인재의 보호 및 리크루팅/HR

핵심 인재의 보호 및 리크루팅 활용 지도

핵심 인재의 요건(조건 및 메트릭)

객관적 특허-논문-SW 데이터로 핵심 기술 인력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핵심 기술 인력은 i) 양산성, ii) 기술 영향력, iii) 기술 리더쉽, iv) 영향력/리더쉽의 강도, v) 조직 내 기술 기여, vi) 조직의 비용 투자, vii) 특별한 이벤트에 사용, viii) 품질 등이 있습니다.

양산성

양산성은 발명자가 발명한 국내 또는 특정 국가에 출원 또는 등록된 특허가 다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술 영향력

발명 특허가 국내 또는 해외에서 얼마나 많이 인용되는가의 지표로,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 포트폴리오의 기술적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기술 리더십

국내 또는 해외의 후속 특허를 심사하는 심사관은, 심사 중인 특허가 선행 특허 때문에 신규성(novelty) 또는 진보성(non-obviousness)이 없다고 거절합니다. 이때,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가 타인의 후속 특허를 거절시키는데 많이 사용될 수록 발명자의 기술 리더십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술 리더쉽이 높은 발명자의 특허는 후속 특허에 비하여 시간적으로 앞서고, 후속 특허와 동일성(신규성)하거나 유사성(진보성)이 높습니다.

강도

강도는 특허당 측정하는 것입니다.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가, 특허당 심사관 피인용수 또는 특허당 거절 후행 특허수 등이 많은 경우, 발명자의 기술 영향력의 강도나 기술 리더십의 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직 내 기여

발명자가 속한 기업의 후속 특허가 발명자가 발명한 선행 특허를 다수 인용하거나, 발명자가 속한 기업의 후속 특허가 거절될 때, 발명자가 발명한 선행 특허가 다수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발명자의 발명은 소속 기업의 후속 R&D와 기술적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명자는 조직의 R&D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self forward citation (by examiner)나 self rejection이 많은 경우, 발명자는 조직 내의 R&D나 기술 발전에 많이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직의 투자

해외 특허 출원은 많은 비용을 동반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발명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에 대해, 국내 특허 출원을 넘어, 여러 나라에 출원하는 경우, 그 발명자는 내부적으로, 특허 비용 투자 기준을 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이, 발명자의 발명에 대한 해외 출원이 많거나, 발명자의 발명 특허당 해외 출원이 많은 경우, 이러한 발명자는 소속 조직에서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이벤트에 사용

발명자의 특허가 i) 거래되거나, ii) 라이센싱되거나, iii) 소송이나 심판 등의 분쟁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이벤트와 관련된 특허를 다수 발명한 발명자는 조직의 핵심 인재라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기업에 대한 선행성 및 우위성

어떤 연구자는 메트릭의 크기(예, 심사관 피인용수 등) 그 자체는 작지만, 경쟁사나 마켓 리더 등과 같이 중요한 기업에 대한 메트릭은 상대적으로 큰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연구자는 경쟁사나 마켓 리더의 리크루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자는 경쟁사 또는 마켓 리더의 특허에 비하여, 시간적으로 선행성이 있으며, 그 기업의 특허가 인용하고 있거나, 그 기업의 특허를 거절하는데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 우위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한 연구자는 급성장하고 있는 세부적인 분야에 대한 메트릭이 클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급성장 분야는 인재 이동이 활발하므로, HR 비즈니스의 핵심 타겟이 될 수 있습니다.

기타

위와 같은 관점 이외에도 품질이 있습니다. 품질에는 i) 시간적 선행성, ii) 등록률, iii) 기술 융합성, iv) 독립항 권리 범위 유지율, v) 청구항수 유지율 등이 있습니다.

핵심 인재의 식별

메트릭을 사용하는 핵심 인재 식별

핵심 기술 인재의 식별은 핵심 인재의 요건 및 메트릭을 사용합니다. 핵심 인재는, i) total 관점의 빠른 접근 방법, ii) 시계열 분석을 통한 성장률/시간에 따른 변동을 보는 방법, iii) 특정 분야(기술, 키워드, 특허 분류 등)에 한정하여 보는 방법, iv) 기업/조직 내로 한정하는 방법, v) 기업/조직의 분야로 한정하는 방법, vi) 비교 대상이 되는 복수의 발명자 만(예, 특정 팀의 연구자 또는 기타)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습니다.

핵심 인재 데이터의 활용

기존 보유 인사 평가 데이터와 결합하는 방법

기업/조직은 소속 연구자에 대한 인사 평가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축적합니다. 이러한 인사 평가 데이터와 객관적 특허 기술 데이터를 결합하면 HR 업무 영역에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